web/Spring boot 3

[Spring boot] Kotlin으로 REST API 만들기 - 2 application과 controller 생성하기

1편에서 처럼 프로젝트를 정상 생성했다면 아래와 같은 DemoApplication.kt 란 파일이 존재하는걸 확인 할 수 있다. 1편 [Spring boot] Kotlin으로 프로젝트 생성하기 포스트로 가기 어플리케이션 이란? 여기서 어플리케이션이란 프로젝트의 메인 클래스로 클래스 위에 붙은 @SpringBootApplication 주석은 스프링부트의 자동설정, 컴포넌트 스캔과 application 클래스에 추가 설정을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package demo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SpringBootApplic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runApplication @SpringBootAppli..

web/Spring boot 2023.01.02

[Spring boot] Kotlin으로 REST API 만들기 -1 프로젝트 생성

Kotlin 공홈에 있는 가이드를 따라하여 Spring boot와 Kotlin을 이용한 RESTful한 웹서비스를 만들어 보려고 한다. 서비스를 만들기 위한 가장 첫 단계인 프로젝트 생성하는 방법이다 IDE : IntelliJ IDEA 빌드 도구 : Gradle 프로젝트 생성 Intellij 에서 file > new > project를 클릭해 New Project > Spring Initializr 탭을 선택 project에서 사용한 SDK를 선택한 후 NEXT 를 클릭한다. language를 kotlin으로 선택, type은 gradle로 선택하여 next를 클릭한다. dependencies는 Web에서 spring web, SQL은 spring data jdbc, H2 Database를 선택 후 프로..

web/Spring boot 2023.01.02

Gradle : compile(api) implementation 차이

gradle? Maven과 같은 빌드 도구로 그루비를 이용한 빌드 자동화 시스템 spring boot 프로젝트를 만들때 빌드 도구로 gradle를 이용하고 있는데 문득 compile 과 implementation의 차이가 궁금해졌다. compile(api) 만약 모듈 A를 수정하게 되면 A모듈을 의존하는 모든 모듈이 rebuild 되어 시간이 걸린다. 연결된 모든 모듈의 api가 외부에 노출된다. implementation 만약 모듈 A를 수정하게 되면 A를 직접적으로 사용하는 모듈만 rebuild되어 시간 상 절약된다. 모듈 간 의존성을 줄이게 되어 프로그램 유지보수 측면에서 유리하다. 좀 더 알아보니 compile 은 Gradle 3.0부터 deprecated 되었고 대신 api 키워드 사용이 가능하..

web/Spring boot 2022.07.24